국민연금 납입기간별 수령액|몇 년 넣어야 얼마 받나?

국민연금 납입기간별 수령액|몇 년 넣어야 얼마 받나?

“내가 지금까지 낸 국민연금, 몇 년이나 넣어야 월 얼마 받죠?” 헷갈리기 쉬운 계산식을 2025년 최신 기준으로 표 하나에 정리했습니다. 조기(앞당겨)·연기(늦춰) 수령, 부양가족 가산, 보험료율 개편 포인트까지 한 번에 확인하세요.

먼저 꼭! 수급 자격·나이 핵심

  • 최소 가입기간 10년을 채워야 노령연금 수급(평생 월 지급) 가능
  • 지급 개시 나이: 출생연도별로 상향(1969년생 이후는 만 65세)
  • 조기 수령: 수급나이 최대 5년 앞당겨 가능(연 6% 감액, 최대 30% 감액)
  • 연기 수령: 최대 5년 연기 가능(연 7.2% 가산, 최대 36% 가산)

2025년 기준 부양가족연금액: 배우자 연 300,330원, 자녀·부모 1인당 연 200,160원(해당 시 월액에 가산).

국민연금, 이렇게 계산돼요 (2025 최신)

계산의 뼈대

연금액 = 기본연금액 × (가입기간별 지급률) + 부양가족연금액
· 기본연금액에는 전체가입자 평균소득(A값)과 본인 평균소득(B값)이 반영됩니다.

  • 2025년 A값 예시: 3,089,062원
  • 2025년 지급률 비례상수: 1.245(소득대체율 41.5%)
  • 지급률: 가입 10년 50% → 이후 매 1년 +5%(월 단위 비례)

보험료·소득 상·하한(’25.7~)

  • 기준소득월액 상한: 6,370,000원
  • 기준소득월액 하한: 400,000원
  • 월 보험료(현재): 기준소득월액 × 9% (사업장 근로자=근로자 4.5%+사업주 4.5%)

개편 안내: 2026~2033년 보험료율이 매년 0.5%p씩 올라 13% 도달 예정. 기본연금 산식도 2026년부터 단계 조정(소득대체율 43% 반영 방침).

납입기간별 수령액 표 (2025년 기준·예시)

국민연금공단의 2025년 예상월액 표를 바탕으로 본인 평균소득(B값)이 각각 200만·300만·400만 원일 때의 월 수령액을 정리했습니다.
(단위: 원/월 · 부양가족 가산 전 · 물가연동 전 · 소득활동 감액/증액 미반영)

B값(평균소득) 10년 15년 20년 25년 30년 35년 40년
2,000,000 256,360 383,580 510,810 638,040 765,260 892,490 1,019,720
3,000,000 306,730 458,960 611,180 763,410 915,640 1,067,860 1,220,090
4,000,000 357,110 534,330 711,560 888,790 1,066,010 1,243,240 1,420,470

※ 실제 연금액은 가입이력·물가연동·근로소득 감액(수급 초 5년)·부양가족 가산 등 요인으로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알아두면 이득! 금액에 영향 주는 6가지

  • 부양가족 가산: 배우자·자녀·부모 요건 충족 시 연간 금액 가산(2025년 기준 반영)
  • 근로소득 감액: 수급 개시 후 5년 동안 A값을 초과하는 소득이 있으면 최대 50% 범위에서 감액
  • 조기/연기: 조기는 연 6% 감액, 연기는 연 7.2% 가산(각 최대 5년)
  • 크레딧: 군복무·출산·실업 크레딧으로 가입기간을 추가 인정해 금액↑
  • 추후납부/반납: 과거 납부예외·연체분(조건 충족 시) 등을 납부해 기간·B값 보완
  • 임의계속가입: 60세 이후에도 계속 가입(최대 65세)해 연금액 늘리기

핵심 요약·체크리스트

✅ 최소 10년 채워야 평생 연금 시작, 1969년생 이후는 만 65세부터 수령
✅ 2025년 기준 A값 3,089,062원·비례상수 1.245, 소득 상한 637만·하한 40만 원 반영
✅ 조기(최대 -30%) vs 연기(최대 +36%)는 평생 총수령·건보료 영향까지 비교
✅ 2026~2033년 보험료율 9%→13% 단계 인상, 산식도 조정 예정(’26년 소득대체율 43%)
✅ 세부 금액은 공단 예상연금 간단계산으로 본인 이력 기준 확인

바로가기 (공식 계산·앱)

👉 국민연금 예상연금 간단계산 바로가기

📘 제도·부양가족·감액 규정 확인

자주 묻는 질문(FAQ)

Q1. 10년을 못 채우면 어떻게 되나요?

A1. 원칙적으로 노령연금 수급이 어려우며, 조건 충족 시 반환일시금 지급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사회보장협정(해외 근무 등)으로 타국 가입기간과 합산해 10년을 채우는 방법도 있습니다.

Q2. 일하면서 받으면 연금이 줄어드나요?

A2. 수급 개시 후 5년간 A값을 넘는 근로·사업소득이 있으면 구간별로 월 연금이 감액(최대 50%)될 수 있습니다.

Q3. 조기 vs 연기, 어느 쪽이 유리하죠?

A3. 조기는 매년 -6%, 연기는 매년 +7.2%가 반영됩니다. 건강·소득 계획, 건보료·세금 영향을 함께 고려해 총수령 추정 후 선택하세요.

Q4. 부양가족연금은 모두에게 주어지나요?

A4. 요건에 맞는 배우자·자녀·부모가 있고 생계유지 사실이 확인될 때만 연간 정액(2025년 기준)을 기본연금에 가산합니다.

Q5. 내 금액을 정확히 보려면?

A5. 공단의 예상연금 간단계산 또는 “내 곁에 국민연금” 앱에서 개인 이력 기반으로 즉시 확인 가능합니다(인증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