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예상수령액 계산기|내 연금 쉽게 계산하기
“내가 매달 얼마를 받게 될까?” 복잡한 공식 때문에 미뤄두셨다면, 아래 간편 계산기로 A값·B값·가입기간만 넣고 바로 확인해 보세요. 2025년 최신 기준을 반영한 빠른 추정치를 제공합니다. (정확한 금액은 국민연금공단 공식 계산기를 확인하세요)
국민연금 간편 계산기 (베타)
※ 2025년 기준소득월액 범위: 400,000원 ~ 6,370,000원
※ 2025 적용 A값 기본값이며, 향후 변동 가능
-
산식(간편): 기본연금액 = 1.2×(A+B)×(1+0.05×n/12)
월 지급률 = 10년 50% + (초과 1년당 5%) (1년 미만 월 단위 반영)
빠른 가이드|내 입력값은 이렇게 해석돼요
- B값: 내 가입기간 동안의 평균 기준소득월액(월). 납입보험료로 입력 시 자동 환산(B = 보험료 ÷ 0.09).
- A값: 연금 개시 직전 3년 전체 가입자 평균소득(월). 기본값은 2025년 적용치.
- n: 가입기간이 20년(240개월)을 초과한 초과 개월 수.
- 부양가족: 배우자(연 300,330원), 자녀·부모(연 200,160원) → 월로 환산하여 가산.
한눈 비교|B값에 따른 10·20·30·40년 시나리오
내 B값을 바꾸면 아래 표도 함께 갱신됩니다. (부양가족 제외, 간편식)
B값(원) | 10년 | 20년 | 30년 | 40년 |
---|
주의할 점|간편 계산과 실제 산정의 차이
- A·B 재평가 및 기간 가중치: 실제 공식은 연도별 가입월수에 따라 1.245~1.2 등의 계수가 달라집니다. 본 계산기는 이해를 돕는 간이식입니다.
- 수급요건: 기본 노령연금은 최소 10년 가입이 필요합니다. (조기·연기, 소득활동 감액 등 별도 규정 존재)
- 상·하한: 2025년 기준소득월액 하한 40만/상한 637만 원 범위를 벗어난 값은 실제 가입이 제한됩니다.
- 세전·세후: 계산기는 세전 금액입니다. 실제 수령액은 세금·감액·가산 등으로 변동됩니다.
체크리스트|누락 없이 준비하기
✅ 가입기간 총 개월 계산(이직·공백 포함)
✅ 부양가족 가산대상 여부 체크(세대분리 유의)
✅ 조기/연기, 소득활동 감액 적용 여부 확인
✅ 공식 계산기/지사 상담으로 최종 검증
마지막 한걸음|공식 계산·신청 바로가기
간편 계산으로 가늠했다면, 이제 국민연금공단 공식 계산기에서 확정 수치로 점검하세요. 국민연금 예상연금 간단계산 (공식)
자주 묻는 질문 (FAQ)
Q1. 10년 미만인데 계산 결과가 0원으로 나와요.
노령연금은 원칙적으로 가입기간 10년 이상부터 수급 가능합니다. 10년 미만은 일시금(반환일시금) 등 다른 급여 유형이 적용됩니다.
Q2. A값은 직접 바꿔야 하나요?
A값은 매년 고시되는 전체 가입자 평균소득입니다. 계산기는 2025년 값을 기본으로 두며, 실제 수령 시점의 A값으로 다시 산정됩니다.
Q3. 부양가족 가산은 누가 대상인가요?
주민등록상 같은 세대인 배우자, 자녀·부모에 대해 정해진 연액이 가산됩니다(연 300,330원/200,160원, 2025년).
Q4. 소득이 있으면 연금이 줄어드나요?
일정 소득을 넘는 경우 ‘소득활동에 따른 노령연금액’ 규정에 따라 감액될 수 있습니다. 연기수령 시 가산, 조기수령 시 감액 규정도 별도로 존재합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