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납입기간별 수령액|몇 년 넣어야 얼마 받나?

국민연금 납입기간별 수령액|몇 년 넣어야 얼마 받나?

한 줄 요약: 국민연금은 가입기간이 길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늘어납니다. 최소 10년 이상 납입하면 출생연도별 지급개시연령(최대 만 65세)부터 종신 지급! 이 글에서는 10·20·30·40년 기간별 예시 수령액과 조기/연기 수령 팁을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액은 무엇으로 결정되나?

  • 가입기간(납부기간): 최소 10년 이상이면 노령연금 수급, 길수록 유리
  • 소득(기준소득월액): 높을수록 연금액 증가(연 7월~다음해 6월 상·하한 적용)
  • 지급률: 가입기간 10년=50%에서 1년마다 5% 가산 (예: 20년=100%, 30년=150%, 40년=200%)
  • 연령·소득활동: 조기(감액)·연기(가산) 선택, 소득활동 시 일부 감액 규정
  • 부양가족연금액: 요건 충족 시 추가

출생연도별 지급개시연령(요약)

출생연도연금 개시조기 수령
1953~1956만 61세최대 5년 빠르게(감액)
1957~1960만 62세
1961~1964만 63세
1965~1968만 64세
1969년 이후만 65세

참고: 조기 청구 시 연 6%(월 0.5%) 감액, 연기 신청 시 연 7.2%(월 0.6%) 가산 (최대 5년).

2025년 적용 주요 수치(핵심)

  • 상한 기준소득월액 상한: 6,370,000원
  • 하한 기준소득월액 하한: 400,000원
  • A값 전체가입자 평균소득월액(A): 3,089,062원(참고치)

※ 상·하한은 매년 7월 조정. 실제 연금액은 개인의 가입 이력·임금상승·물가 반영으로 달라질 수 있습니다.

납입기간별 수령액 예시표(2025년 가정)

아래 표는 예시입니다(세전, 부양가족연금 제외). 동일 소득으로 꾸준 납입했다는 가정이며, 실제 금액은 개인별 이력과 제도 반영에 따라 달라집니다. “정확 금액”은 공식 계산기에서 확인하세요.

① 월 소득 400만원 가정(직장가입자 기준소득월액 400만원)

납입기간예상 수령액(월)설명
10년약 25~40만원최소 수급 요건 충족 시 용돈 수준
20년약 69만원 내외공단 추계 사례치 근접
30년약 103~110만원20년 대비 약 1.5배
40년약 135~155만원30년 대비 지급률 +33%p

② 평균소득 가정(A값≈309만원)

납입기간예상 수령액(월)메모
10년약 20~35만원개인 소득이력에 따라 편차
20년약 55~70만원평균 기준 중간대
30년약 85~95만원장기가입 효과 체감
40년약 115~135만원상대적 최대치 접근

③ 상한 소득 가정(기준소득월액 637만원)

납입기간예상 수령액(월)메모
20년약 110~125만원상한 소득, 장기가입 전
30년약 150~180만원고소득·장기가입 구간
40년약 200~240만원제도상 예측치 상단

조기·연기 수령, 얼마나 차이 나나요?

  • 조기노령연금: 최대 5년 일찍 수령 가능. 1년당 6% 감액 → 5년 당겨 받으면 30% 감액된 금액을 평생 수령.
  • 연기연금: 최대 5년 늦추기 가능. 1년당 7.2% 가산 → 5년 늦추면 36% 가산된 금액을 평생 수령.
  • : 현재 소득이 높아 감액 대상이거나 장수 가능성이 높다면 ‘연기’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수령액을 키우는 6가지 방법

  1. 임의계속가입: 퇴직 후 60세 전까지 계속 납입해 가입기간 늘리기
  2. 추후납부(추납): 과거 납부 예외·미납 기간을 소득 범위 내에서 추가 납부
  3. 반환일시금 반납: 과거 찾아간 일시금을 반납해 가입기간 회복
  4. 출산·군복무 크레딧: 인정기간 추가로 가입기간 보강
  5. 연기연금 활용: 소득이 있거나 장수 리스크 관리 시 유리
  6. 기준소득월액 점검: 상·하한 구간, 사업장 신고 적정성 확인

핵심 요약 & 체크리스트

  • 최소 10년 납입해야 노령연금 수급 가능
  • 납입기간 20→30년이면 지급률 100%→150%로 약 1.5배 구조
  • 조기 수령은 평생 감액(최대 -30%), 연기 수령은 평생 가산(최대 +36%)
  • 2025.7~2026.6 상한 637만원·하한 40만원 적용
  • 정확한 금액은 공식 계산기로 본인 이력 기준 확인

정확 수령액 확인 & 공식 자료

👉 국민연금 예상연금 모의계산 바로가기

노령연금 종류·수급요건(공식 안내) · 예상연금월액표(2025년 기준)

FAQ

Q1. 최소 몇 년을 넣어야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나요?
A. 10년 이상 납입 시 출생연도별 지급개시연령부터 노령연금을 평생 받을 수 있습니다.
Q2. 소득이 있으면 연금이 줄어드나요?
A. 지급 개시 후 일정 기준 이상의 소득활동이 있으면 일부 감액될 수 있습니다. 은퇴 시점의 근로·사업소득 규모를 확인하세요.
Q3. 조기노령연금과 연기연금 중 무엇이 유리한가요?
A. 개인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조기는 연 6% 감액, 연기는 연 7.2% 가산(최대 5년) 구조로, 건강·소득·수명 등을 고려해 결정하세요.
Q4. 10년이 안 되는데 방법이 없나요?
A. 임의계속가입, 추후납부, 반환일시금 반납 등으로 가입기간을 늘리는 방법이 있습니다(요건 충족 필요).
Q5. 부양가족연금액은 어떻게 더해지나요?
A. 배우자·부모·자녀 요건 충족 시 연금액에 연 단위로 일정액이 가산됩니다. 공식 안내에서 최신 금액을 확인하세요.